본문 바로가기

물류센터4

[물류사전] 물류조직의 선정전략 1. 물류조직의 선정전략 바워삭스(bowersox)와 도어티(daugherty)에 의하면 조직구조의 형태는 프로세스전략, 시장전략, 정보전략에 따라 선정한다고 한다. 1) 프로세스전략 프로세스전략은 원자재에서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이동하는 제품에 있어서 효율성을 최대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전략은 구매, 생산일정계획, 재고, 수송, 발주과정과 같은 물류활동들이 함께 관리되어진다. 2) 시장전략 시장전략을 추구하는 기업들은 강력한 고객서비스를 지향한다. 판매와 로지스틱스를 동시에 구성하는 이 전략은 프로세스 전략하에 내재되어 있는 물류활동들을 통합하는 조직구조가 아니라 판매와 로지스틱스의 고객서비스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활동들을 동시에 고려하고 최고경영자에게 보고되어진다. 이 조직구조는 높은 수준의 고객.. 2022. 9. 6.
[물류사전] 물류의 기능 1. 물류의 기능 물류의 기능은 공공적/사회경제적/개별기업 관점에서 상이할 수 있다. 첫째, 공공적 관점에서 물류의 합리화와 물류 생산성의 제고가 물가상승의 억제능력으로서 기능하며, 국가경쟁력 확보 및 경제활동에서 유통측면의 지원기능을 하고 있다. 둘째,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물류향상 등을 통하여 산업유통구조를 선진화할 수 있으며 사회적 안정과 능률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셋째, 개별기업 관점에서 물류의 목적을 최소의 비용으로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최대화하는 것으로 보고, 비용과 서비스의 상충관계(trade -off)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마케팅 개념을 도입하여 비용의 최소화만을 위하기보다는 기업의 마케팅활동의 일부로서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켜 기업의 장기이익을 추구하는 역할로서 인식하고 있다. 기업.. 2022. 9. 5.
[물류사전] 보관관리 1. 보관의 의의 보관이란 재화를 물리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여 고객의 주문에 따라 피킹, 소팅, 검품, 출고 및 배송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고 물품의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거리를 조정하여 시간적 효용을 창출하는 핵심적인 물류활동이다. 즉, 보관활동은 수송비와 생산비를 줄이고, 공급과 수요를 균형화하며, 생산과정을 지원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경쟁력 있는 판매활동을 위한 것이다. 1) 보관의 목적 기존의 보관 및 창고관리는 물류흐름상에서 비효율적인 부문으로 인식되어 왔다. 역설적으로 현대 물류관리의 관점에서는 재고의 보유를 최소화 시키는 것을 추구해 왔지만 이와 동시에 최소 재고보유만이 아닌 재고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최근 보관은 저장(stock)기능으로부터 흐름(flow)기능 중심으로 그 핵심.. 2022. 8. 25.
[물류사전] 포장의 표준화와 적정화 1. 포장의 표준화와 적정화 1) 포장의 표준화 포장표준화는 물적유통 전반을 조성해주는 활동으로서 물류비의 절감을 목적으로 함과 동시에 유통업자, 포장재 생산업자, 사용자, 소비자 등에 이르기까지 그 효과가 전달될 수 있도록 국가적, 국제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포장의 표준화는 포장재료의 표준화, 포장기법의 표준화, 포장치수의 표준화, 포장강도의 표준화로 분류할 수 있다. 포장표준화는 생산/유통되고 있는 각종 포장용기의 규격을 검토, 분석하여 표준화, 규격화 함으로써 물류의 합리화를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포장은 그 디자인과 성능문제가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상품을 운반하는 데 따른 제반요건을 보다 합리화하여 일관작업을 행함으로써 물류비의 절감, 상품내용물의 보호/보관 및 하역의 효율화를 기할 수.. 2022.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