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류성과5

[물류사전] 물류조직의 선정전략 1. 물류조직의 선정전략 바워삭스(bowersox)와 도어티(daugherty)에 의하면 조직구조의 형태는 프로세스전략, 시장전략, 정보전략에 따라 선정한다고 한다. 1) 프로세스전략 프로세스전략은 원자재에서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이동하는 제품에 있어서 효율성을 최대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전략은 구매, 생산일정계획, 재고, 수송, 발주과정과 같은 물류활동들이 함께 관리되어진다. 2) 시장전략 시장전략을 추구하는 기업들은 강력한 고객서비스를 지향한다. 판매와 로지스틱스를 동시에 구성하는 이 전략은 프로세스 전략하에 내재되어 있는 물류활동들을 통합하는 조직구조가 아니라 판매와 로지스틱스의 고객서비스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활동들을 동시에 고려하고 최고경영자에게 보고되어진다. 이 조직구조는 높은 수준의 고객.. 2022. 9. 6.
[물류사전] 물류활동별 성과측정 1. 물류활동별 성과측정 1) 운송의 성과측정 (1) 운송품질의 성과측정(Transportation Quality Measures) 운송품질의 성과측정은 운송기능을 고객의 요구(즉, 정시배송, 운송도중의 파손 및 정확성 등)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충족시키느냐를 평가하는 데 있다. 아래의 4가지 범주는 운송품질을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요소이므로 이를 중심으로 운송품질의 성과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정시배송(on-time delivery) 완전무결한 인도(complete and damage-free- delivery) 정확한 운송서류(accurate freight bill) 고객의 주문과 클레임에 대한 적절한 대응(timely response to inquiries and claims) ㄱ. 정시배.. 2022. 8. 30.
[물류사전] 창고시설의 효율화 방법 1. 창고시설의 효율화 방법 종래 기업경영에서는 생산/판매부분의 합리화/효율화에 중점을 두어 왔지만, 최근에는 물류관리를 효율화하여 총물류비의 절감에 기업경영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고객의 니즈가 고도화/다양화/세분화되는 가운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상품의 신속한 공급이나 서비스에서의 신속성, 고품질화가 요구되고 있다. 보관기능을 전통적 개념에서 확대시켜 생산에서 판매까지 이르는 토털시스템으로 운영해 가고 있다. 현대의 물류관리에서는 창고를 보관기능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유통기능을 강화하여 창고의 부가가치를 증가시키고 있다. 창고관리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상품의 보관 및 저장기능과 입출고기능을 극대화하여 기업의 수익에 공헌하는 데 있다. 1) 보관저장기능의 향상 방법 창고의 저장효율을 높일 수 있는 .. 2022. 8. 27.
[물류사전] 조달 (개념, 중요성, 역할) 1. 조달 1) 조달(procurement)의 개념 기업활동에 있어 구매(purchasing), 조달(procurement), 자재관리(material management), 로지스틱스(logistics), 공급관리(supply management), 공급사슬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등의 용어는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념 중에서 구매(purchasing), 조달(procurement)의 개념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어 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구매(purchasing)'란 용어는 구입(buying)의 과정을 의미한다. 구매는 조직이 필요로 하는 모든 자재를 획득하기 위해 책임을 지는 기능을 하고 있는데 이는 조직이 필요로 하는 적합한 공급자를 찾아내.. 2022.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