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물류활동별 성과측정
1) 운송의 성과측정
(1) 운송품질의 성과측정(Transportation Quality Measures)
운송품질의 성과측정은 운송기능을 고객의 요구(즉, 정시배송, 운송도중의 파손 및 정확성 등)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충족시키느냐를 평가하는 데 있다. 아래의 4가지 범주는 운송품질을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요소이므로 이를 중심으로 운송품질의 성과측정을 실시할 수 있다.
- 정시배송(on-time delivery)
- 완전무결한 인도(complete and damage-free- delivery)
- 정확한 운송서류(accurate freight bill)
- 고객의 주문과 클레임에 대한 적절한 대응(timely response to inquiries and claims)
ㄱ. 정시배송(on-time delivery)
정시배송은 운송품질을 측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정시배송의 경우에는 여러 분야의 측면에서 측정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만약 정시배송이 불가능하게 되었다면 이는 운송과정에서 발생한 그 자체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공장에서의 생산지연, 또는 주문처리의 미숙, 기후 등에 의한 불가항력적인 이유 등 다양한 이유가 산재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운송분야 그 자체의 문제에서만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시배송에 관한 성과측정시 발생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반드시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석대상 | 미치는 영향 |
- 운송장비의 결함 - 기후 - 생산지연 - 자재관리 문제점 - 기타 운송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제점 - 기타 운송과 간접적으로 관련된 문제점 |
- 고객에 대한 신용도 하락 - 고객의 주문취소 - 특별운송수단(premium transportation) 사용으로 인한 추가비용 - 업무비용 및 업무시간의 증가 |
ㄴ. 완전무결한 인도(complete and damage-free delivery)
이는 제품이 고객에게 인도되었을 시 발생한 파손율 및 결함을 말하는 것으로 파손의 형태(type of manage), 파손발생지(source of damage), 파손원인(cause of damage), 재작업에 따르는 비용(cost of rework) 등으로 그 원인 및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 장/단기적인 관점에서제품의 파손 및 손상은 운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발생은 운송설비부족, 포장상의 문제, 운송절차의 문제, 작업자의 숙련도 등이 영향을 끼치므로 이를 고려하여 성과를 측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분석대상 | 미치는 영향 |
- 부족분 및 파손의 형태: 컨테이너 안에서의 제품분실, 케이스 분실, 오염, 포장불량, 누손(leakage), 파손(breakage) 등 - 부족분 및 파손의 발생지: 상차시(loading), 운송시(in-transit), 하차시 (unloading) 등 - 파손의 원인: 운송시 일어난 사고, 절도(theft), 기후(weather), 고의적인 파괴(vandalism), 운영미숙 등 |
- 수입감소 - 손실액 발생 - 추가적인 핸들링(handling) 및 운송수단의 사용 - 재작업 비용 |
ㄷ. 정확한 운송서류(accurate freight bill)
운송서류를 실수 없이 정확히 작성/기록하는 것으로, 그 원인은 날짜기입의 오류, 불완전한 정보, 운송업자와 화주 간의 문제 등에 있다. 이러한 운송서류의 오류는 고객에 대한 신용도 하락 및 운송시간의 지연 등으로 인한 추가비용이 발생한다.
분석대상 | 미치는 영향 |
- 운송서류에 관한 작업시 발생하는 오류비율 - 부정확한 자료의 입력 - 불완전한 정보(incomplete information) - 운송인과 화주 사이의 의사소통장애 |
- 업무시간의 증가 - 고객에게 잘못된 요금부과 및 제품인도로 신용도에 대한 불신감 초래 |
ㄹ. 고객의 요구와 클레임에 대한 적절한 대응(timely response to inquiries and claims)
이는 고객의 요구에 대한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방법으로 대응하는 것을 말하며 클레임에 대한 원인의 파악 및 사후대책이 필요하다.
분석대상 | 미치는 영향 |
- 기업이 적절하지 못하게 반응한 고객요구 및 클레임 - 고객요구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
- 고객요구 및 클레임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으로 인한 비용발생 - 수입감소 |
(2) 운송의 생산성 성과측정(transportation productivity measures)
운송의 생산성 측정은 운송에 대한 총비용의 투자와 운송량에 의해 측정되어 질 수 있다. 제공되어진 총운송량은 톤-마일(ton-miles) 또는 최종목적지까지 운송되어진 운송량에 의해 산출되어 질 수 있다. 물류활동의 생산성측정은 생산성, 효용성, 성과의 3요소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운송에 관한 성과는 예산(budget) 대 실제 발생한 비용(actual cost)을 산정/비교함으로써 측정되어 질 수 있다.
더 많은 물류정보가 궁금하다면
[물류사전] 창고시설의 효율화 방법
1. 창고시설의 효율화 방법 종래 기업경영에서는 생산/판매부분의 합리화/효율화에 중점을 두어 왔지만, 최근에는 물류관리를 효율화하여 총물류비의 절감에 기업경영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소화물일관운송
1. 소화물일관운송 1) 소화물일관운송의 개념 (1) 소화물일관운송의 의의 특송, 택배서비스 또는 문전배달서비스라고 하며, 화주로부터 1건 또는 1개 이상의 소형/소량의 화물운송을 의뢰받아 송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사전] 물류의 개념 (0) | 2022.09.04 |
---|---|
[물류사전] 물류채산분석 (1) | 2022.08.31 |
[물류사전] 창고시설의 효율화 방법 (0) | 2022.08.27 |
[물류사전] 보관관리 (0) | 2022.08.25 |
[물류사전] 소화물일관운송 (0) | 2022.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