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창고시설의 효율화 방법
종래 기업경영에서는 생산/판매부분의 합리화/효율화에 중점을 두어 왔지만, 최근에는 물류관리를 효율화하여 총물류비의 절감에 기업경영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고객의 니즈가 고도화/다양화/세분화되는 가운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상품의 신속한 공급이나 서비스에서의 신속성, 고품질화가 요구되고 있다. 보관기능을 전통적 개념에서 확대시켜 생산에서 판매까지 이르는 토털시스템으로 운영해 가고 있다. 현대의 물류관리에서는 창고를 보관기능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유통기능을 강화하여 창고의 부가가치를 증가시키고 있다.
창고관리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상품의 보관 및 저장기능과 입출고기능을 극대화하여 기업의 수익에 공헌하는 데 있다.
1) 보관저장기능의 향상 방법
창고의 저장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는 하드웨어에 의한 방법과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 두 가지가 있다.
(1) 하드웨어에 의한 방법
첫째, 높은 선반이나 적층식 선발을 설치하여 건물 내의 상부공간을 활용한다. 적층식 선반에는 계단 외에도 chute lift, lift elevator 등을 부설하여 사용하고 높은 선반에는 발판, chute lift, fork lift truck, lite pick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둘째, drive in rack이나 mobile rack을 설치하여 통로가 필요하지 않은 저장방식을 사용한다. drive in rack은 스페이스의 활용도를 배가시킨다. 단, 동일통로 내에는 동시에 출하하는 제품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hi-stack system이나 hi-shifter system의 입체적인 저장력을 이용한다. hi-stack system이나 hi-shifter system은 선반에의 입출, 그리고 통로 상호간의 교환적재, 입출고정보의 제공 등의 작업을 무인으로 수행할 수 있다. rack의 높이가 때로는 25m 이상에 달하기도 하며, 입출고를 위한 stacker crane이 운행되는 통로는 화물이 적재된 넓이보다 겨우 10-15cm 정도만 넓으면 가능하기 때문에 창고의 적재능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2)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
입출고, 반품처리 등 창고 내 작업시간대가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하며 물품의 이동을 단축하여 낭비를 제거한다. 보관품은 검색하기 쉽도록 체계적인 로케이션관리를 실시하며 유니트로드시스템과 RFID와 같은 시스템을 활용하여 물품의 활성도를 높인다.
2. 창고계획 수립시 고려사항
창고의 건립 및 운영과 관련된 계획 수립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창고의 입지
창고의 입지에 대해서는 그것의 좋고 나쁨에 따라 장래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원칙적으로 항만, 간선도로, 철도 등과 연결되어 있어 화물 인수처에 가까운 곳이나 지가가 싼 곳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창고부지를 결정할 경우 법규상의 제약, 도시계획법 등을 정확히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유통창고
입고 및 출고 배송경로상 교통이 편리한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어야 하며 차량의 출입 및 하역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또한 주요 간선도로에 인접해 있어서 연계수송이 편리해야 할 것이다
(2) 공장창고
최대한 작업장에 근접하여 위치하여 있어야 하며 가급적 생산의 흐름에 맞추어 관리하며 입출고가 편리한 곳에 입지하여야 한다.
2) 공간활용
창고의 레이아웃(layout)을 고려할 때에는 공간의 활용과 창고작업의 용이성이 중요하며 입체적으로 적재하고, 통로면적을 가급적 줄이며 구분방법을 변경하여 적재효율을 향상시킨다.
3) 통로
통로의 레이아웃은 창고에서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하여 레이아웃을 결정해야 한다.
통로가 좁으면 작업능률이 떨어진다.
굴곡이 많고 폭의 변화가 심해서는 안 된다.
미끄러워서는 안 된다.
어둡지 않도록 한다.
모든 보관품이 한눈에 들어오도록 한다.
너무 넓으면 스페이스 활용도가 떨어진다.
출고품의 집하거리가 길지 않도록 한다.
운반기기가 충분히 작업이 되고 unit load가 통과할 수 있는 폭이 안되면 운반능률이 떨어진다.
통로에 기둥 또는 장애물이 있어서는 안 된다.
4) 창고의 구조
창고의 층별 구조결정 문제가 중요하다. 적재면적을 단층으로 할 경우에는 평당 건설비도 싸고 기둥도 적고 승강설비도 필요 없으며 또 높에 적재할 수도 있어 통로면적이 비교적 적다. 그러나 단층의 경우 많은 면적의 토지가 소요되고 면적당 적재면적이 한정되어 있어 다층 창고보다는 적재율이 많이 떨어지게 된다.
5) 창고 내의 운반설비
창고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운반설비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는데 화물의 형태, 보관방식, 입출고빈도, 수량 등에 따라서 적절한 운반설비를 선택해야 한다.
(1) 운반설비
지게차(fork life truck), side fork lift truck, stack fork lift truck, stacker crane
(2) 중량물 및 대형물, 이형물
crane, hoist
(3) 이동
truck, trailer, tractor(견인차), 동력운반차, 손수레
(4) 창고 내에서의 승강설비
elevator, crane, hoist, fork lifr truck
더 많은 물류정보가 궁금하다면 아래 글도 참고해보자
[물류사전] 보관관리
1. 보관의 의의 보관이란 재화를 물리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여 고객의 주문에 따라 피킹, 소팅, 검품, 출고 및 배송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고 물품의 생산과 소비의 시간적 거리를 조정하여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소화물일관운송
1. 소화물일관운송 1) 소화물일관운송의 개념 (1) 소화물일관운송의 의의 특송, 택배서비스 또는 문전배달서비스라고 하며, 화주로부터 1건 또는 1개 이상의 소형/소량의 화물운송을 의뢰받아 송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사전] 물류채산분석 (1) | 2022.08.31 |
---|---|
[물류사전] 물류활동별 성과측정 (0) | 2022.08.30 |
[물류사전] 보관관리 (0) | 2022.08.25 |
[물류사전] 소화물일관운송 (0) | 2022.08.24 |
[물류사전] 조달 (개념, 중요성, 역할) (0) | 2022.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