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더피킹(Order picking)이란?
오더피킹이란 고객의 발주내역에 따라 물류센터 및 창고 내에서 체계적인 로케이션관리하에 보관 중인 상품을 집품하여 납품준비를 하는 물류활동을 말한다. 오더피킹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고객의 주문내역과 일치하도록 상품을 집품하고, 지정한 납기 안에 배송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보통 기업이 생산하여 판매하는 품목은 동일한 상품이라 하더라도, 그 크기나 색상, 스타일 ,성능의 차이에 따라 수없이 다양하므로, 과학적인 오더피킹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객의 주문내역과 상이한 납품이 이루어지기가 쉽다. 이러한 경우 고객은 자신이 주문했던 상품과 상이한 품목의 배달로 인해 판매기회를 상실할 수 있으며, 기업은 반품처리 및 상품재발송에 따른 추가적인 물류비용과 시간의 낭비가 있게 된다.
따라서 짧은 시간 내에 고객의 주문내용대로 정확하게 집품할 수 있는 오더피킹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물류시스템의 전반적인 효율성과 효과성, 즉 총물류비와 고객서비스 수준에 대한 목표를 달성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2. 오더피킹시스템의 변화
1) 다품종소량 / 고빈도배송
우리나라의 다품종소량 / 고빈도배송의 수준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보다 심화되고 있으며 또 그 경향이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도의 정보화시대에서 VAN과 LAN을 비롯한 새로운 정보네트워크시스템이 점차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정보네트워크시스템의 급속한 발전으로 재고파악이 신속 / 정확하게 되면서 POS의 도입은 상세한 발주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격심한 기업경쟁하에서도 고객서비스가 중요하게 되고, 수주에서 물건의 납품까지의 리드타임의 단축, 고빈도배송에 의한 고객서비스가 중요한 테마로 되었지만 고빈도배송은 수송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것만이 아니라 여기에 대응하는 피킹의 빈도도 늘어나게 된다. 정보의 전달이 빠르게 되면 지금까지 다품종소량이라고 하는 수주내용이 점점 다품종소량화하여 소단위화될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문제는 지금까지 한 종류, 한 팔레트의 주문이 한 상자로 변화하고, 그 한 상자의 주문내용이 급속히 변화하는 것으로서, 1일 1회의 납품이 2회나 3회로 되는 것을 말한다.
다품종소량 주문체제도 물류시스템이나 기기의 설비에 큰 변화를 미치게 된다. 상자단위의 출하로, 또 상자단위의 출하가 낱개단위로 출하되면 현재 시스템의 생산선이 떨어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별도시스템으로 변경하거나 별도 기기를 쓰지 않으면 안될 경우도 생긴다. 문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오더피킹시스템이나 기기가 다품종소량의 변화에어느 정도까지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이런 것은 향후 물류시스템이나 물류기기의 도입에 있어서도 특히 주의를 요하는 점이다.
2) 자동화와 기계화
오더피킹작업은 다품종소량 / 고빈도배송으로 인해 사람의 손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을 자동화 / 무인화로 해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지만 다품종소량의 경향은 이 자동화 / 무인화의 실현을 점점 어렵게 한다. 자동화나 무인화는 처리량이 많을수록 기술적인 측면과 채산성 측면에서 자동화가 용이하지만 다품종소량의 처리는 소량처리를 위한 자동화 비용이 증가하여 실현이 어려워진다. 생산라인의 다품종소량의 대응은 다품종소량이라 하더라도 로봇이나 자동기기의 대응도 가능하지만, 배송센터나 유통센터의 다품종소량이란 그 소량이라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다종다양한 물건을 소량 취급하는 오더피킹의 자동화에 로봇을 사용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오더피킹에 로봇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단순히 피킹 로봇에 한정되어 있는 정도이다.
한편 오더피킹의 자동화는 창고시스템의 최대의 과제로서 예전부터 여러 가지 오더피킹기기가 개발되어 실용화되어 오고 있다. 이런 것은 자동피킹기계라고 불려지고 있어 팔레트나 상자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 기종이 있다. 단품을 자동적으로 피킹하는 자동피킹기계는 그 형식이 자동판독기 타입으로 되어 있어서 같은 양상의 자동피킹기계가 미국 및 유럽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로봇에 의한 피킹의 연구도 유럽에서는 성행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컴퓨터의 파일이나 서적 등의 비교적 형상이 일정한 것을 선반에서 피킹하는 자동피킹로봇이 쓰여지고 있다.
상자나 배달용 상자를 플로우 랙이나 선반에 보관하고 자동피킹하는 방법은 자동 플로우 랙을 활용하여 자동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오더피킹기기라 해도 팔레트에서 단품의 것까지 모두 처리할 수 있는 기기는 없고 취급하는 물건의 형태에 따라 적용범위가 대체로 한정된다. 각 창고의 오더피킹 물건이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타사에서 행하고 있는 시스템이나 기기를 그대로 도입하여 활용하는 것이 어렵다.
3) 디스플레이방식
다품종소량 피킹의 자동화가 어렵게 되면 그 대응은 아무래도 사람 손에 의지할 수 밖에 없다. 수작업에 의존할 경우 그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물품정보 및 로케이션의 표시방법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 표시방법은 피킹한 물건을 보관하고 있는 선반이나 플로우 랙의 앞쪽에 빨간 램프를 달아 피킹 장소를 지시하고 다시 그 선반에서 몇 개 피킹할 것인가를 표시하는 등 피킹의 효율성을 크게 증진시켜준다. 피킹 대차에 컴퓨터를 탑재하여 IC카드나 플로피 등으로 피킹하는 정보를 넣어 그 대차로 피킹하는 선반번지나 수량을 표시하는 방식, 선반과 연동해서 피킹하는 선반에 빨간 램프를 켜서 수량을 표시하여 피킹하는 방식도 쓰여 왔다. 회전 선반은 picker가 피킹하는 물건을 선반번지나 품명코드에 key in하는 것으로서 자동적으로 피킹한 물건을 picker의 장소에 회전하여 오는것으로 사람손에 의한 것이다. 이 방법은 피킹효율이 좋으며 다품종소량의 피킹에 쓰여지고 있다. 또 회전 선반의 각 출구를 분류선으로 나누어 그 출구에 배치피킹해온 물건을 분류하는 방법도 쓰여지고 있다.
4) 자동식별장치(Identification & Recognition)
피킹 문제점의 하나로 물건과 정보와의 연결이 없기 때문에 어떤 물건이 어디에 보관되어 있다고 해도 그 정보와 물건 및 그 장소와는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이것을 잇는 방법이 자동식별장치로 그 하나는 바코드이며 그 외로 자기방식이나 RF방식(Radio Frequency, 물건에 응답기를 첨부해서 Micro-wave를 이용해서 응답하는 방법)을 사용해서 비접촉, 자동적으로 물건이나 장소를 읽어내는 방식도 사용해 오고 있다.
RF방식의 응답기를 물건에 첨부하면 어떠한 것이 포장되어 있어도 검품이 될 수가 있다. 바코드, 자기코드, RF코드 등을 팔레트나 선반에 붙이면 그것을 읽어낼 수가 있어 어떤 선반에 무슨 팔레트가 보관되어 있는지의 정보를 읽어낼 수 있고 팔레트의 추적조사가 된다.
5) 라벨피킹
오더피킹의 방법으로서 피킹리스트 대신에 피킹한 물건의 수량만큼 라벨을 빼서 이것을 기준으로 물건을 피킹하여 물건에 이 라벨을 첨부한 라벨피킹(label picking)방식도 쓰여진다. 이 방식은 라벨을 첨부한 시점에서 '물건'과 정보가 일치하도록 되어 피킹 수량의 착오도 없어진다. 이 라벨에 품명만이 아니고 품명의 바코드나 납입선을 가리키는 바코드 등을 인쇄해서 놓으면 피킹한 물건의 바코드를 스캐너로 읽는 것으로 검품을 능률적으로 행하고 바코드 부착 물건이 됨으로써 같은 제품이라도 납입선이 다른 경우 구별도 되고 그 물건의 추적 조사도 될 수가 있다.
6) 무선시스템
Fork Lift 무선통신기기를 실어 몇 번지의 선반에서 어떤 팔레트를 피킹할 것인가를 지게차의 기사에 지시하는 방법이다. 팔레트 선반과 팔레트에 자동식별장치를 붙여서 어떤 선반에 어떤 팔레트가 보관되어 있는지의 정보를 명확하게 하고 Free Location 방식으로 피킹하는 방법 등도 쓰여진다. 무인지게차나 무인대차(AGVS)에 피킹정보를 넣어서 팔레트 등을자동피킹하는 방법도 쓰여지고 있다.
7) 수주방법
오더피킹의 자동화 / 기계화가 되면 물건을 피킹하는 것의 자동화 / 기계화를 생각하기 쉽지만 수주정보를 신속하게 출하지시서에 바꾸는 것도 피킹의 능률화에 필요한 것이다. 수주정보의 처리가 늦어지면 리드타임이 길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피킹을 하기 위한 준비작업에 시간이 걸리게 되면 피킹의 능률이 떨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수주방법으로서 핸디터미널, 컴퓨터단말기 등 수주정보를 신속하게 빨리 전달하는 방법이나 전달의 정보, 물건에 첨부되어 있는 정보를 자동식별해서 컴퓨터에 자동입력하는 방법도 쓰여진다. 입하정보, 재고 정보 등도 자동입력한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 이처럼 오더피킹의 자동화는 날이 갈수록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다른 물류지식이 궁금하다면 아래 내용도 참고해보자.
[물류사전] 3자 물류, 3PL이 뭐지? (삼자물류, 쓰리피엘에 대해)
1. 3자 물류(3PL) 1) 3자 물류(Third Party Logistics : TPL 또는 3PL) 뉴스나 신문에서 종종 '3자 물류, 4자물류' 와 같은 말들이 들리곤 한다. 3자물류, 얼핏 처음들으면 '3자간의 물류인가?' 라고 생각될 수도.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팔레트(pallet)란? (제품종류 및 임대팔레트/자가팔레트 비교분석, 무엇이 더 유리할까?
1. 팔레트(pallet) 물류에서 팔레트란 화물의 수송 및 보관에 있어서 그 하역작업 및 운반작업을 합리화하기 위한 화물적재판이다. 1) 팔레트화? 팔레트화는 개별화물들을 그 특성에 맞는 적절한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MRP(자재 소요 계획)와 JIT생산이란? (개념, 이점, 불리점 등)
1. MRP(자재 소요 계획)이란? 1) MRP의 의의 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 MRP)에서는 주생산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e : MPS)을 기초로 완제품 생산에 필요한 자재 및 구성부품의 종류, 수량,..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사전] 자가창고와 영업창고에 대해 (창고의 기능) (0) | 2022.08.04 |
---|---|
[물류사전] 저장창고와 유통창고에 대해 (창고의 종류) (0) | 2022.08.03 |
[물류사전] 국내 택배사 방문택배 가격비교 및 신청방법 (feat. CJ대한통운, 한진택배, 우체국택배, 로젠택배) + 추천 (0) | 2022.08.01 |
[물류사전] MRP(자재 소요 계획)와 JIT생산이란? (개념, 이점, 불리점 등) (0) | 2022.07.31 |
[물류사전] 3자 물류, 3PL이 뭐지? (삼자물류, 쓰리피엘에 대해) (0) | 2022.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