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물류비 개념
물류비는 모든 물류활동을 위해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의미한다. 물류비를 산정하는 목적은, 첫째 물류비의 중요성 인식, 둘째 물류활동의 문제점 파악, 셋째 물류활동의 계획, 실행, 통제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즉, 물류관리의 효율화/합리화를 위해 물류비의 산정이 필수적이다.
물류비의 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이론적 물류비(기업물류비 계산준칙 : 한국생산성본부)
물류비는 특정 제조업자의 제조와 판매활동(유통업자의 경우 유통과 판매활동)에 수반되는 물류를 위하여 자사 혹은 타사가 소비한 경제가치라고 정의한다.
이 개념의 물류비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물류비 대상이 물류활동 또는 물류조직 단위별 개념
물류비의 영역을 조달, 사내, 판매, 반품, 폐기물류로 하고 생산물류는 제외
자사지불물류비를 자가, 위탁물류비로 구분
타사지불물류비 개념 포함
2) 실무적 물류비(미국관리회계사협회(IMA)의 관리회계지침서 4P 물류의 원가관리)
물류비(logistics cost)란 원산지로부터 소비자까지의 조달, 사내 및 판매, 재고의 전 과정을 계획, 실행, 통제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말한다. 물류는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비용효과가 가장 높은 방식으로 원재료 및 제품의 효율적인 흐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입, 운송 및 보관기능을 통합한다고 정의한다.
이 개념의 물류비는 고객서비스 측면에서 개념을 정의한 것으로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물류비의 범위를 제품의 생산/판매에 국한하지 않고 원자재공급자로부터 최종소비자에게까지 설정, 또한 공급연쇄(supply chain) 개념을 포함
- 총비용적인 접근으로 재고부문을 별도로 구분하여 재고관리의 중요성을 강조
- 물류활동의 계획(plan), 실행(do), 통제(see)라는 물류관리 프로세스 측면에 물류비 관리 대상을 결정
- 물류비관리의 목적을 고객요구의 대응, 효과적인 비용절감방식 사용, 재화의 흐름의 효율적인 운영, 통제, 물류기능의 통합화에 두고 있음
3) 총물류비(total cost)
총비용 개념에 의한 물류비는 전체시스템의 관점에서의 물류비를 의미한다. 하부 물류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비용의 상충관계(trade-off)를 고려하여 부분최적화가 아니라 물류비의 전체적인 최적화 최소화를 실현한다는 개념이다. 이 개념의 물류비는 비용의 상충관계 분석시 필요한 것으로 전체시스템에 대한 비용효과분석에 유용하다.
최근에는 물류관리의 범위가 단순판매물류의 범위를 넘어 공급망 전체에 미치는 최적화를 도모하고 있는 것으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전략적 물류원가 관리에 많은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2. 물류비 분류체계
1) 영역별 물류비
영역별 물류비는 물적 흐름과정에 의한 분류로 조달, 사내, 판매, 반품 및 회수를 포함하는 리버스 물류비 등을 포함한다.
(1) 조달물류비
조달물류비는 원자재, 부품, 제품 등을 포함한 물자의 조달처로부터 운송되어 매입자의 보관창고에 입고/관리되어 생산공정(또는 공장)에 투입되기 직전까지의 물류활동에 따른 물류비를 말한다.
(2) 사내물류비
사내물류비는 매입물자의 보관창고에 완제품 등의 판매를 위한 장소까지의 물류활동에 따른 비용을 말한다. 다만, 재료의 생산이나 제품의 제조공정 내에서 발생하는 비용은 생산원가 또는 제조원가에 산입되므로 물류비에서는 제외시킨다.
(3) 판매물류비
판매물류비는 생산된 완제품 또는 매입한 상품을 판매창고에서 보관하는 활동부터 고객에게 인도될 때까지의 물류비를 말한다.
(4) 역물류비
역(reverse)물류비는 회수물류비, 폐기물류비, 반품물류비로 세분화한다.
- 회수물류비란 공용기와 포장자재 등이 회수되어 재사용 가능할 때까지의 물류비를 말한다.
- 폐기물류비란 제품이나 상품, 포장용 또는 수송용 용기나 자재 등을 회수하여 폐기할 때까지의 물류비를 말한다.
- 반품물류비란 판매한 제품/상품 또는 위탁판매한 제품/상품의 취소, 위탁의 취소 등의 물류활동에 따른 물류비를 말한다.
2) 기능별 물류비
어떤 부문에서 발생하였는가에 따라 운송비, 보관비, 하역비, 포장비, 물류정보관리비로 분류할 수 있다.
(1) 운송비
운송비는 물자를 물류거점 간 및 고객에게 이동시키는 활동에 따른 물류비를 말한다. 다만, 개별기업의 물류비 계산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다.
- 수송비는 기업의 필요에 따라 물자를 물류거점까지 이동시키는 물류비
- 배송비는 물자를 고객에게 배달시키는 물류비
(2) 보관비
보관비는 물자를 창고 등의 물류시설에 보관하는 활동에 따른 물류비
(3) 하역비
하역비는 유통가공 및 운송, 보관, 포장 등의 업무에 수반하여 상차 및 하자, 피킹, 분류 등 물자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물류비
(4) 포장비
포장비는 물자이동과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상자, 골판지, 팔레트 등의 물류포장(최종소비자를 위한 판매포장은 제외) 활동에 따른 물류비
(5) 물류정보관리비
물류정보관리비는 물류활동 및 물류기능과 관련된 정보처리와 관리에 따른 물류비를 말한다. 다만, 개별기업의 물류비 계산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할 수 있다.
- 물류정보비는 구매, 수송, 생산, 창고운영, 재고관리, 유통망 등 물류 프로세스를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효율화하기 위하여 컴퓨터 등의 전자적 수단을 사용하여 지원하는 활동에 따른 물류비
- 물류관리비는 물류활동 및 물류기능의 합리화와 공동화를 위하여 계획, 조정, 통제 등의 물류관리활동에 따른 물류비
이처럼 물류비는 기준에 따라 종류도 여러가지이며 내포하고 있는 내역 또한 여러가지이다.
물류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알아보자
[물류사전] 3자 물류, 3PL이 뭐지? (삼자물류, 쓰리피엘에 대해)
1. 3자 물류(3PL) 1) 3자 물류(Third Party Logistics : TPL 또는 3PL) 뉴스나 신문에서 종종 '3자 물류, 4자물류' 와 같은 말들이 들리곤 한다. 3자물류, 얼핏 처음들으면 '3자간의 물류인가?' 라고 생각될 수도.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오더피킹(Order picking)이란?
1. 오더피킹(Order picking)이란? 오더피킹이란 고객의 발주내역에 따라 물류센터 및 창고 내에서 체계적인 로케이션관리하에 보관 중인 상품을 집품하여 납품준비를 하는 물류활동을 말한다. 오더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사전] 소팅의 개념 (소팅방법, 소팅목적, 자동분류방식 등) (0) | 2022.08.07 |
---|---|
[물류사전] SCM이란? (e-SCM? 다양한 관점에서의 개념 정의) (0) | 2022.08.06 |
[물류사전] 자가창고와 영업창고에 대해 (창고의 기능) (0) | 2022.08.04 |
[물류사전] 저장창고와 유통창고에 대해 (창고의 종류) (0) | 2022.08.03 |
[물류사전] 오더피킹(Order picking)이란? (0) | 2022.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