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류사전

[물류사전] 소팅의 개념 (소팅방법, 소팅목적, 자동분류방식 등)

by 물류셀럽 2022. 8. 7.

소팅의 개념, 소팅방법, 소팅목적, 자동분류방식 등
소팅의 개념

 

1. 소팅의 개념

 

소팅(sorting, 분류)이란 상품명세에 따라 개별적인 정보를 갖고 있는 물품을 일정한 분류기준과 과학적인 로케이션관리 체계에 따라 일정한 위치에 집합시키는 물류활동이다. 소팅은 상품을 체계적으로 분류함으로써 상품인도에 대한 리드타임을 줄이고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활동인 것이다.

 

2. 소팅의 목적

 

소팅은 물품을 형태 및 중량, 고객별, 주문별, 행선지별, 제품별 등으로 분류하는 작업읹데, 그 기본적 목적은

  • 생산성향상
  • 고객서비스의 향상
  • 성력화
  • 분류시간의 단축
  • 분류오류의 감소 등이다.

 

3. 소팅방법

 

1) 롤컨베이어벨트에 의한 방법

 

경사롤컨베이어 위를 이동해 가는 화물을 분기하기 위해 방향을 바꾸는 판자를 사용해서 좌우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구동롤러컨베이어(수평) 위를 이동해 가는 화물을 분기하기 위해 방향을 바꾸는 판자를 사용해서 구분하는 방법이다.

구동롤러컨베이어(수평) 위를 이동해 가는 화물을 분기시키는 장소에 오면 측면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롤러의 간격에 롤러컨베이어의 흐름과 직각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체인컨베이어를 설치해서 이를 통해 롤러컨베이어의 윗면보다 높게 부상시켜 체인컨베이어의 회전방향으로 화물을 구분하는 방법이다.

앞의 경우는 화물이 체인컨베이어 위를 타고 이동하지만 체인컨베이어는 부상시키지 않고 분기되는 컨베이어 위를 타고 이동하지만 체이컨베이어는 부상시키지 않고 분기되는 컨베이어의 폭과 동등한 폭을 설치한 2개의 체인컨베이어에 옆으로 밀어내는 바를 설치하여 분기시키는 장소에 화물이 왔을 때 이것을 운전해서 수평으로 강제 이동시에 직각방향으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분기시키는 장소에 설치한 직각방향에 밀어내는 스프렛샤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밀어내 구분하는 방법이다.

 

2) 벨트컨베이어에 의한 방법

 

롤러컨베이어 위에 판자를 설치하여 방향을 바꾸는 방법이다.

벨트의 표면이 수지 가공된 미끄러운 고무벨트를 사용하여 롤러컨베이어의 분기점에 온 화물을 직각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셔에 의해서 강제적으로 분기하는 방법이다.

스틸벨트를 분류용 컨베이어로 사용하여 고속으로 운전을 하면서 적당한 간격으로 화물을 보냄과 동시에 분류를 위한 분기점의 정보를 입력하여 분류기에 의해서 밀어내 구분하는 방법이다.

벨트컨베이어에서 화물을 운반하여 몇 개의 분기점에서 벨트를 내려 여기에 생긴 간격으로 6-7개로 분할해서 제각기 일제히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롤러를 설치해 주고 화물이 분기점을 통과할 경우에 이분할 롤러벨트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고 분기점에서 분기하는 신호가 입력되어 있으면 분기롤러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방향을 바꾸어서 부상하여 진행해 온 화물을 오른쪽 또는 왼쪽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방법이다.

 

3) 동작에 의한 분류방법

 

(1) 밀어내는 방식

 

화물을 컨베이어에 흐르는 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암(arm)으로 밀어내는 방식이다.

 

(2) 다이버트 방식

 

진행하는 방향에 대해서 컨베이어 위에 비스듬히 암으로 물품을 분류한다.

 

(3) 이송방식

 

움직이는 롤러의 틈에서 수개의 체인을 회전시키면서 롤러면에 다소 높게 물품을 밀어올려 컨베이어의 물품을 직각으로 분류하는 방식이다.

 

(4) 운반체인방식

 

물품을 운반하는 체인 사이에서 회전롤러르 떠오르게 해서 분류하는 방식이다.

 

(5) 틸트방식

 

벨트식, 트레이식, 슬레이트식의 세 가지 방식이 있다. 이 가운데 틸트트레이방식은 체인컨베이어 위에 하물을 반송하는 트레이를 다수 연결하여 소정의 위치에서 트레이를 기울여서 하물을 분류한다.

 

4. 자동분류방식

 

1) 키보드입력

 

일반적으로 싼 것이지만 키보드방식으로는 전자계산기와 같은 텐키와 버튼식의 풀키가 있다. 20-30개의 분류에는 풀키, 40개를 초과하면 텐키가 능률적이다.

 

2) 바코드방식

 

미리 하물에 인쇄 또는 첨부된 라벨상의 바코드를 레이저스캐너로 읽어내서 분류하는 것으로서 분류가 정확하고 생산성이 높다.

 

3) 음성입력

 

작업자가 읽어낸 하물번호, 행선 등을 구두로 읽어내면 컴퓨터가 그 음성을 기억하고 있어 이해하고 분류한다. 이 장치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양질의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요청된다. 특히 운송업에서 그 프로세스는 자동분류기뿐만이 아니라 자동적으로 정보를 수집/처리하며 운임계산 및 영수증의 자동발행, 적재량의 자동산출, 배차운행계획의 작성, 청고 및 회수사무, 화물추적, 판매일보 및 판매월보의 자동작성 등을 동시에 할 수 있다.

 

5. 소팅시스템의 향후과제

 

물류시스템의 전체적인 효율성을 위해서는 배송시스템의 효율화가 필수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분류장치와 피킹시스템의 과학적인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적정재고수준의 유지 및 물류거점에서의 리드타임의 단축이라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분류장치의 발전이 반드시 필요하다.

 

분류장치의 개발의 기술적 과제는 화물이 분류동작 중에 받는 충격의 경감과 분류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화물의 형상과 성질이 다른 물품이 혼합되어 있을 때 분류의 정확성과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여 배송의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문품을 신속하게 피킹 및 소팅하여 이를 포장한 후에 고객에게 배분하는 일련의 작업의 처리시간의 단축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자동분류장치의 기술적 향상이 향후 중요한 개발과제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소팅시트템은 고객 주문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방향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

 

더 많은 물류지식이 궁금하다면

 

[물류사전] SCM이란? (e-SCM? 다양한 관점에서의 개념 정의)

1. SCM이란? 공급사실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는 1980년대 초 Oliver와 Weber에 의해 처음 사용된 이후 다양한 관점에서 그 개념이 다음과 같이 정의 되고 있다. (1) 미국로지스틱스관리협회(Council..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자가창고와 영업창고에 대해 (창고의 기능)

1. 자가창고와 영업창고 (1) 자가창고와 영업창고의 이용형태 항만과 같은 형태의 물류거점에서는 영업창고의 이용이 보편적이다. 그 이유는 물류거점에서 발생하는 물동량의 변동이 크고, 부정

planitblue.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