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류사전

[물류사전] SCM이란? (e-SCM? 다양한 관점에서의 개념 정의)

by 물류셀럽 2022. 8. 6.

SCM이란? e-SCM
SCM이란?

 

1. SCM이란?

 

공급사실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는 1980년대 초 Oliver와 Weber에 의해 처음 사용된 이후 다양한 관점에서 그 개념이 다음과 같이 정의 되고 있다.

 

(1) 미국로지스틱스관리협회(Council of Logistics Management)

"제품의 원산지로부터 소비지점까지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제품의 재고, 서비스, 정보의 흐름을 계획, 실행, 통제하는 과정"

 

(2) 공급관리협회(Institude of Supply Management)

"최종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조직의 경계를 초월하여 끊임없는 부가가치 프로세서를 설계하고 관리하는 것. 공급사슬을 성공적으로 통합하면 인적/기술적 자원의 개발과 통합이 필요"

 

(3) 공급사슬협의회(Supply Chain Council)

"수요와 공급의 관리, 원자재와 부품의 조달, 제조 및 조립, 제품보관과 재고추적, 수주 및 주문관리, 공급사슬경로 간 배송, 고객에게의 배달을 의미"

 

(4) 공급사슬관리전문가협의회(Council of Supply Chain Management Professionals)

"발주, 조달, 생산에 관련된 모든 활동의 계획과 관리 및 모든 물류관리활동, 공급업체, 유통업체, 제2자 물류업체, 그리고 고객 등 모든 유통채널 파트너와의 조정과 협력도 포함"

 

상품이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과정에는 공급자, 제조업자, 물류업자, 물류서비스 제공업자, 도매 및 소매업자 등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객체가 존재하며 이러한 객체들의 연결관계를 공급사슬(supply chain)이라고 할 수 있다.

 

SCM은 공급사슬상의 객체들 간의 기업과 조직 간의 벽을 넘어선 정보공유를 통해 불필요한 낭비요소를 제거하고 비즈니스 프로세스 상에서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과도한 재고보유나 불필요한 물류비용을 최소한으로 억제시키는 것이다. 동시에 비즈니스 스피드를 향상시킴으로써 고객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 경영기법인 것이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효율화는 지금가지 기업의 각 부문과 기업 내에서 진행되어 왔는데 아무리 개별적인 효율화를 추구하여도 소비자에 대한 가치와 결부되어 있지 않은 부분적인 최적화이었다. 소비자에게 적시에 적절한 양의 적합한 상품을 낮은 비용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자재의 조달에서 소비자의 손에 상품이 도달하기까지의 공급사슬 전체가 하나의 조직처럼 전체 최적화를 실현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최적화는 기업내부에서 외부의 공급사슬까지 범위가 확대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업 간의 제휴를 중시하는 움직임이 등장하였다.

 

SCM은 부분적인 효율화가 아니라 네트워크에 의해 결합된 공급사슬이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상품의 흐름을 신속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동시에 자금의 흐름을 신속하게 하는 효율적인 경영을 통해 프로세서 비용을 대폭 삭감하고 궁극적으로는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1990년대 말에 등장한 SCM은 공급사슬상에서의 정보공유, 협업을 통한 재고 관리 등 공급사슬관련 의사결정을 최적화하는 경영기법이었다. 이러한 SCM의 기업에서의 도입목적은 재고감축을 통한 비용절감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 글로벌기업은 단순한 재고감축기법이 아닌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차원에서의 SCM을 활용하고 있다. 즉, 글로벌기업들은 재고감축에 초점을 맞춘 전통적 SCM(일명 SCM1.0)을 바탕으로 하고, 차별적 경쟁력 확보를 겨냥한 차세대 SCM(일명 SCM2.0)을 추진 중이다.

 

SCM2.0은 SCM1.0이 비용절감(재고감축)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반면 탄력, 친환경, 고객지향 등을 추구하며 유연성 확보를 중시하고 있다. 이는 SCM1.0만으로는 최근 급변하는 글로벌 생산, 물류, 유통, 환경 속에서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2. e-SCM의 개념

 

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해 발달한 e-business는 오늘날 기업들로 하여금 기업경쟁력 확보의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e-business의 모델 수립시 가장 중요한 고려요소 중 하나는 고객과의 약속인데 효율적인 주문이행(order fulfullment)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공급사슬(supply chain)의 연계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재고자산의 감소, 자산활용도 제고, 거래간접비용 제거 및 고객요구 충족 능력향상 등을 위해 조직 간 공급사슬을 유연하게 유지하고 각 공급사슬 내에 존재하는 개체 간의 경계내부와 외부 간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특히 전자상거래를 통해 공급자는 물류측면에서 비용, 시간의 단축, 유통채널의 갈등해소, 고객정보의 실시간 획득 등을 필요로 하게 되고 전체적인 프로세서상의 일원화를 통한 효율성을 추구하게 된다. 따라서 인터넷을 활용한 e-business의 등장은 SCM을 e-SCM으로 변화시키고 업무와 조직의 가상화, 정보의 통합, 물류의 정보의 동시화, 협업화, 디지털화 등의 새로운 기업경영의 패러다임을 수용한 개념의 SCM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e-SCM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처럼 SCM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더 많은 물류정보가 궁금하다면

 

[물류사전] MRP(자재 소요 계획)와 JIT생산이란? (개념, 이점, 불리점 등)

1. MRP(자재 소요 계획)이란? 1) MRP의 의의 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 MRP)에서는 주생산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e : MPS)을 기초로 완제품 생산에 필요한 자재 및 구성부품의 종류, 수량,..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오더피킹(Order picking)이란?

1. 오더피킹(Order picking)이란? 오더피킹이란 고객의 발주내역에 따라 물류센터 및 창고 내에서 체계적인 로케이션관리하에 보관 중인 상품을 집품하여 납품준비를 하는 물류활동을 말한다. 오더

planitblue.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