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 [물류사전] MRP(자재 소요 계획)와 JIT생산이란? (개념, 이점, 불리점 등) 1. MRP(자재 소요 계획)이란? 1) MRP의 의의 MRP(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 MRP)에서는 주생산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e : MPS)을 기초로 완제품 생산에 필요한 자재 및 구성부품의 종류, 수량, 시기 등을 계획한다. MPS에서 확정된 완제품의 소요량은 생산기간별로 자재 및 부품의 소요량으로 전환된다. MRP에서는 부품의 재고수준을 합리적으로 낮게 하면서 완제품을 적시에 생산하도록 발주, 생산, 조립의 계획을 수립한다. MRP는 자재 및 부품의 적잘한 재고수준 유지, 작업흐름의 향상, 우선순위 및 납기준수, 생산능력의 활용 등을 목표로 한다. 효율적인 재고관리와 자재소요를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2. JIT생산이란? 1) JIT의 .. 2022. 7. 31. [물류사전] 3자 물류, 3PL이 뭐지? (삼자물류, 쓰리피엘에 대해) 1. 3자 물류(3PL) 1) 3자 물류(Third Party Logistics : TPL 또는 3PL) 뉴스나 신문에서 종종 '3자 물류, 4자물류' 와 같은 말들이 들리곤 한다. 3자물류, 얼핏 처음들으면 '3자간의 물류인가?' 라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3자물류는 화주기업이 고객서비스의 향상, 물류관리비용의 절감, 그리고 물류활동에 대한 운영효율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공급사슬상의 기능전체 혹은 일부를 특정 물류 전문업체에게 외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말해 '물류를 아웃소싱한다, 물류를 외주에 맡긴다.' 라고 하는 표현이 이에 해당하며 3자물류는 자사물류(1PL)의 시대에서 물류 아웃소싱을 통한 여러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시스템이다. 3PL이라는 용어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 2022. 7. 29. [물류사전] 팔레트(pallet)란? (제품종류 및 임대팔레트/자가팔레트 비교분석, 무엇이 더 유리할까?) 1. 팔레트(pallet) 물류에서 팔레트란 화물의 수송 및 보관에 있어서 그 하역작업 및 운반작업을 합리화하기 위한 화물적재판이다. 1) 팔레트화? 팔레트화는 개별화물들을 그 특성에 맞는 적절한 팔레트를 사용하여 단위화시킴으로써 하역작업시 시간당 화물처리능력을 현저하게 개선하여 하역비와 하역시간을 크게 감축시켜 줌으로써 전체 물류시스템의 효율성 증진에 크게 기여하는 물류활동이다. 한마디로 말해 화물들에 동일한 단위를 적용하여 일을 생산성과 효율을 높인다. (1) 팔레트의 장/단점? 팔레트의 장점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핵심적인 것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팔레트의 장점] 1.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하역작업시간이 단축된다. 2. 하역기계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기동성이 증가하고 안전한 작업도 기대할.. 2022. 7. 28. 이전 1 ···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