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물류정보기술의 종류(1) - EDI에 이어 ITS, WMS, POS, EOS에 대해 알아보자.
물류정보기술의 종류(2)
2. 운송관리시스템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란 도로, 차량, 신호시스템 등 기본 교통체계의 구성요소에 전자, 제어, 통신 등 첨단기술을 접목시켜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차세대 교통체계기술을 의미한다.
첨단교통체계는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 Advanced Traveler Management System)
- 첨단교통정보시스템(ATIS: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 첨단대중교통시스템(APTS: Advanc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 첨단화물운송시스템(CVO: Commercial Vehicle Operations)
- 첨단차량관리시스템(AVCS: Advanced Vehicle Control Sytem)
화물 및 화물차량관리시스템(FFMS)은 화물 및 차량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 관리하고, 각종 화물운송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서 공차운행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차량 및 배차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서비스시스템을 말하며, 위험물차량관리시스템(HMMS)은 위험물 적재차량의 위치를 추적하여 지정노선 운행 감시 및 특정지역 운행제한 등을 특별 관리하고, 돌발 상황시 교통관리시스템(돌발상황관리)과 연계하여 신속한 사고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3. 창고관리시스템(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WMS는 제품이 입고되어 적재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어 출하되는 모든 작업과정과 그 과정상에서 발생되는 물류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WMS의 목적은 창고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오더와 상품의 흐름에 대한 제어, 입과 피킹에 대한 최적화, 창고공간 효율성 최적화, 장비와 인적자원에 대한 최적화, 물류흐름상의 정보에 대한 실시간 제공)을 지원하는 데 있다.
즉 창고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필요한 모든 곳에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그 정보를 이용하여 기업은 원활한 기업활동을 위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의의가 있다.
화물의 입출고관리, 재고관리, 보관위치관리시스템, 출고지시시스템과 픽킹시스템, 디지털분류시스템, 택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은 각 기업별로 물류관리의 목적 및 물류관리의 규모에 따라 채용하는 종류와 깊이가 다르다.
주목적은 정확한 재고수량관리 및 재고금액의 자동적 계산, 재고의 실시간 확인관리(Visibility management), 보관면적의 효율성 극대화, 픽킹작업의 효율적 수행, 선입선출의 정확한 실시, 픽킹작업의 정확도 향상, 포장작업의 정확도 및 효율성 향상, 다른 물류시스템과의 효율적인 연계 및 ERP와의 연계 등에 있다.
3. 판매시점관리시스템(POS: Point Of Sales System)
판매시점관리시스템은 외식업, 유통업, 서비스업 등 각종 매장을 운영하면서 실시간으로 매출을 등록하고, 등록된 매출자료의 자동정산 및 집계를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프로그램 또는 서비스)과 하드웨어(장치 및 주변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POS는 판매정보의 입력을 쉽게 하기 위해 상품 포장지에 고유마크, 바코드를 인쇄하거나 부탁시켜 판독기(핸드스캐너)를 통과하면 해당상품의 각종 정보가 자동적으로 메인컴퓨터에 입력된다. 유통업체는 이 정보를 활용해 수시로 매출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 재고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잘 팔리는 상품의 진열을 확대하는 등 상품관리 및 업무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다. POS시스템의 발달은 판매시점에서부터 정보의 즉각적인 피드백(Feedback)에 의한 상품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4. 자동발주시스템(EOS: Electronic Ordering System)
자동발주시스템(EOS: Electronic Ordering System)은 POS시스템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수/발주의 효율화와 리드타임의 단축을 통해 단품구매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즉, 소매업 점포에 발생한 발주데이터를 발생현장에서 자동적으로 입력하고, 온라인으로 소매업의 본부, 도매업체 또는 상품제조업체로 전송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EOS 도입효과는 다음과 같다.
- 발주시간 단축, 발주오류 감소로 발주작업 효율성 제고
- 신속/정확한 발주체계 확립
- 재고관리비용 감소
- 오납, 결품 감소
- 검품에 필요한 시간, 인력 절약
- 전표업무 삭감
- POS시스템과 병행하여 효율적인 점포종합관리시스템 구축
- 수주 및 반품처리 업무 효율성 제고
- 납품 후 발주 등 비정상적인 거래 근절
- 다양한 고객의 욕구에 대응
- 서비스체제 향상
- 수/발주데이터를 토대로 보다 합리적인 영업관리 가능
- 납품에 필요한 배차횟수감소, 인력절감, 시간단축으로 인한 효율적인 물류체제 확립
이처럼 물류정보기술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이 좋다.
더 많은 물류정보가 궁금하다면 '물류정보기술 1탄'
[물류사전] 물류정보기술의 종류(1) -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1. 물류정보기술의 종류 물류부문에서도 정보기술의 채용을 통해 효과적인 물류관리 및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다. 정보기술과 정보시스템은 기업의 물류관리의 효율성 향상에 대단히 중요하기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사전] 포장관리 (개념, 기능에 대하여) (0) | 2022.08.12 |
---|---|
[물류사전] 하역관리 (하역의 기초) (0) | 2022.08.11 |
[물류사전] 물류정보기술의 종류(1) -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0) | 2022.08.09 |
[물류사전] 편의점 반값택배 이용방법 및 가격, 주의사항 (당근마켓 거래꿀팁, CU, CU끼리택배, GS25, BOX25) (0) | 2022.08.08 |
[물류사전] 소팅의 개념 (소팅방법, 소팅목적, 자동분류방식 등) (0) | 2022.08.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