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물류정보기술의 종류
물류부문에서도 정보기술의 채용을 통해 효과적인 물류관리 및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다. 정보기술과 정보시스템은 기업의 물류관리의 효율성 향상에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에 경쟁적으로 발전된 정보기술의 도입을 도모하고 있다. 최근 물류분야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기술을 소개해본다.
<물류관리 응용정보기술>
구분 | 정보기술 | 물류응용분야 |
문서 및 정보관리시스템 | EDI | 각 부서 간, 사업 간 표준화 된 데이터의 교환 |
운송관리시스템 | ITS | 도로, 차량, 신호시스템 등 기본 교통체계의 구성요소에 전자, 제어, 통신 등 첨단기술을 접목시켜 구성요소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차세대 교통체계기술 |
창고 및 재고 관리시스템 | WMS | 제품이 입고되어 적재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되어 출하되는 모든 작업 과정과 그 과정상에서 발생되는 물류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
POS | 광학적 자동판매방식의 레지스터에 의한 단품별로 수집된 판매정보와 매입, 배송 등의 활동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를 컴퓨터로 처리하여 각 부문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로 가공, 전달하는 시스템 | |
바코드시스템 | Bar-Code | 제품의 분류, 입출고시 자동으로 데이터 입력 |
RFID | 화물의 분류, 데이터 입력, 추적 등 | |
위치추적 및 조회시스템 | GPS | 화물 또는 차량의 자동식별과 위치추적의 신속, 정확한 파악 |
GIS | 장소의 물리적인 위치와 관련된 가시적인 형태를 보여줌으로써 데이터의 해석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 | |
기타 | TRS, Internet, ARS, DPS, OCR |
이 중에서 최근 물류정보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운송관리시스템 (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창고관리시스템(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판매시점관리시스템(POS: Point Of Sales System), 자동발주시스템(EOS: Electronic Ordering System), Bar cod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오늘은 먼저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에 대해 알아보자.
1)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세계적으로 정보화가 진전되고 이로 인하여 정보통신기술이 급속하게 확산/발전하게 됨에 따라 기업의 거래정보 처리를 위한 새로운 정보통신 상품과 서비스의 하나로 출현하게 된 것이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이다. EDI는 '전자문서교환' 또는 '전자자료교환'이라고 불리며, 정형화된 서식과 같이 구조화된 형식의 정보(Structured format data)를 표준화된상거래서식 또는 공공서식으로 구성하여 합의된 통신표준에 따라 컴퓨터간에 교환하는 정보전달방식으로서, 인편이나 우편에 의존하는 서류 대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통신망을 통해서 표준화된 형식으로 문서를 교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자문서교환(EDI)에서 일컬어지는 '전자문서'란 전자적 신호를 이용하여 작성된 문서들로써, 컴퓨터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의 문서들을 일컫는다. 특히 EDI에서는 정형화된 전자문서의 사용이 매우 중요시되는데 종이문서들 중 정형적인 서식들, 예를 들어 주문서, 송장 등을 기준으로 상호 교환하고자 하는 각종의 정보(주문정보, 발주정보, 거래정보 등)를 미리 약속한 일종의 암호로 변환한 후 표준화된 형태로 구성한다. 이때, 기존의 문서에 들어 있던 모든 정보들은 표준화된 코드로서 하나의 문서의 형태를 갖게 되며, 이를 정형전자문서라 한다.
EDI는 서로 독립된 기업 또는 조직 사이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EDI를 이용하면 견적요청서, 견적서, 주문서, 지급의뢰서와 같은 일상적인 서류의 교환이 없어진다. 정보의 전송을 위해 정보를 전자신호로 변환시키고 전자적 방식으로 통신한다는 점에서 보았을 때, 팩시밀리나 전자우편도 EDI와 유사한 방식을 사용한다고 볼 수 있지만 팩시밀리나 전자우편에 의해 전송된 자료는 구조화된 표준양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전송된 내용을 사람이 읽어서 재입력 작업을 하기 전에는 가공될 수 없다는 점에서 EDI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EDI를 도입하여 사용하게 되면 정보의 발신자는 수신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표준전자문서를 전송하게 되고, 수신자는 전자문서를 접수하여 발신인의 의사를 이해하고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게 되므로 번거롭게 종이서류를 의존하지 않고도 거래당사자와 자유로운 거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번에는 많은 물류정보기술 중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에 대해 알아 보았고 다음포스팅에서는 운송관리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창고관리시스템(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 판매시점관리시스템(POS: Point Of Sales System), 자동발주시스템(EOS: Electronic Ordering System)에 대해 알아보겠다.
더 많은 물류정보가 궁금하다면
[물류사전] 소팅의 개념 (소팅방법, 소팅목적, 자동분류방식 등)
1. 소팅의 개념 소팅(sorting, 분류)이란 상품명세에 따라 개별적인 정보를 갖고 있는 물품을 일정한 분류기준과 과학적인 로케이션관리 체계에 따라 일정한 위치에 집합시키는 물류활동이다. 소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SCM이란? (e-SCM? 다양한 관점에서의 개념 정의)
1. SCM이란? 공급사실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는 1980년대 초 Oliver와 Weber에 의해 처음 사용된 이후 다양한 관점에서 그 개념이 다음과 같이 정의 되고 있다. (1) 미국로지스틱스관리협회(Council..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사전] 하역관리 (하역의 기초) (0) | 2022.08.11 |
---|---|
[물류사전] 물류정보기술의 종류(2) - ITS, WMS, POS, EOS (0) | 2022.08.10 |
[물류사전] 편의점 반값택배 이용방법 및 가격, 주의사항 (당근마켓 거래꿀팁, CU, CU끼리택배, GS25, BOX25) (0) | 2022.08.08 |
[물류사전] 소팅의 개념 (소팅방법, 소팅목적, 자동분류방식 등) (0) | 2022.08.07 |
[물류사전] SCM이란? (e-SCM? 다양한 관점에서의 개념 정의) (0) | 2022.08.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