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공운송
1) 항공운송의 특징
항공운송이란 항공기에 의해 화물을 운송하는 것을 말하며 근년 점보 제트기의 출현과 함께 항공기의 대형화에 의해 국 내 및 국제운송에 있어서의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항공기의 발달은 지금까지의 저장의 개념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즉, 시간비용(time cost, 시간을 기준으로 한 코스트)이 그것이다. 시간비용은 또한 총비용의 개념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보관뿐만 아니라 이동 중의 화물을 재고로서 파악하고 포장, 하역 등을 합계한 총비용을 항공기, 선박, 철도와 비교하는 것이 그것이다. 특히, 중량/용적당 부가가치가 높은 이른바 소형 고가품에 대한 항공운송이 비교우위에 있다.
항공수송의 특징은 속도와 시간비용에 있음과 동시에 짐꾸리기나 포장이 용이하고, 또한 화물의 손상이 적고 품질의 훼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는 점이지만, 비용이 높고 대량수송이 어려우며, 또 경음공해가 심하기 때문에 공항에 따라서는 이/착륙의 제한이 따른다.
2) 항공운송의 종류
항공수송은 벌크로딩(bulk loading, 포장하지 않고 싣는 것)에서 일명 이글루라고 하는 컨테이너에 의한 유니트로드시스템(unit load system)으로 이행하고 있다. 유니트로드화는 화물전용기의 짐싣기, 짐부리기의 합리화를 가능케 하며 항공화물의 하역의 기계화를 촉진하고 있다.
(1) 여객기
여객의 운송을 주된 목적으로 한 항공기이며, 여객의 수화물을 하부의 화물실에 수용하고 잔여 부분을 화물수송에 이용한다.
(2) 화물/여객혼재기
화물/여객혼재기란 하부의 화물실 이외에 상부의 객실의 일부를 화물실로서 이용하는 항공기를 말한다. 간선수송보다는 로컬(local)수송에 적합하다.
(3) 화물전용기
화물전용기는 상부와 하부의 전방 및 후방에 화물실이 있어서 일반적으로 상부에는 유니트로드화된 화물을 싣고, 하부에는 포장되지 않은 화물을 실을 수 있는 항공기를 말한다.
3) 항공화물의 특성
항공운송의 화물특성은 고속성, 높은 운임부담력, 품질유지, 안전성, 확실성이다.
(1) 고속운반을 필요로 하는 화물
항공기의 장점인 고속성을 발휘함으로써 상품특성에 따라 단시간 수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신선도를 유지하여야 하는 화물 및 살아있는 동/식물을 운송할 때 활용될 수 있다.
(2) 운임 부담력이 높은 화물
컴퓨터, 카메라, 전자부품 등 단위당 가격이 높은 제품은 상품가격에 비해 운송비의 비율이 낮은 까닭에 주로 항공운송의 대상이 되는 상품이다.
(3) 고도의 품질유지를 필요로 하는 화물
항공수송은 충격도나 진동이 적기 때문에 화물의 품질유지가 용이하고 손상이 극히 적다.
(4) 안전성/확실성을 요하는 화물
보석, 미술골동품 등은 손상, 도난 등으로부터의 안전성과 확실성을 필요로 하며 수송시간에 크게 좌우된다.
4) 화물항공운송업
(1) 항공운송사업
항공운송사업이라 함은 타인의 수요에 응하여 항공기를 사용하여 유상으로 여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을 말하며, 정기항공운송사업과 부정기항공운송사업의 둘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는 한 지점과 다른 지점 사이에 노선을 정하고 정기적으로 항공기를 운항하는 사업을 말하며, 후자는 정기항공운송사업 외의 항공운송사업을 칭한다.
(2) 항공화물운송 대리점업(air cargo agent)
항공화물운송 대리점업이란 항공운송사업을 경영하는 자를 위하여 유상으로 항공기에 의한 여객 또는 화물의 국제통운 계약의 체결을 대리(여권 또는 조사를 받는 절차의 대행 제외)하는 사업을 말한다.
(3) 항공운송 주선업(consolidator)
항공운송 주선업이란 항공운송사업을 하는 운송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송하는 사업이다. 즉, 여러 화주로부터 소량화물을 집하하여 이를 집약하고, 대단위 화물로 하여 항공운송사업자에게 위탁한다. 도착 공항에서는 자기 명의로 인수하고 이를 분류하여 하수인에게 배달하거나 영업소에서 인도하는 사업이다.
(4) 상업서류 송달업(courier)
상업서류 송달업이란 타인의 수요에 응하여 유상으로 우편법 제2조 제2항의 단서규정에 해당하는 수출입 등에 관한 서류와 그에 부수되는 견본품을 항공기를 이용하여 송달하는 사업을 말한다.
(5) 항공기 취급업
항공기 취급업이란 공항 또는 비행장에서 항공기의 정비/급유/하역 기타 지상조업을 하는 사업을 말한다.
[항공운송의 장/단점]
구분 | 장점 | 단점 |
내용 | - 신속하게 수송할 수 있다 - 고가상품의 수송에 유리하다 - 중장거리의 수송에 유리하다 - 기본적으로 소량의 수송에 적합하다 - 포장, 짐꾸리기가 간단해서 좋다 - 화물의 손상이 적다 - 수송상의 위험부담이 적다 - 운임 이외의 각종 비용은 절약할 수 있다 - 재고량을 삭감할 수 있다 - 금리부담이 적다 |
- 대량수송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 중량제한이 있다 - 단거리 수송에 적합하지 못하다 - 공항이 없는 소도시에서는 이용할 수가 없다 - 저가격 상품에는 적응성이 없다 - 운임이 높다 - 에너지 소비량이 크다 - 소음공해 규제를 받는다 |
더 많은 물류정보가 궁금하다면
[물류사전] 철도운송
1. 철도운송 1) 철도운송의 특성 철도는 대량화물을 일시에 운송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운송수단으로 운송거리에 운송비가 반비례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다른 운송수단과 비교해서 배기가스나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위험물의 수출입절차
1. 위험물 선적서류 위험물의 수출입절차는 다른 일반화물의 절차와 큰 차이는 없지만 위험물의 특수한 성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고, 위험물 취급에 관련된 종사자의 안전을 도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사전] 운송업의 구분 (feat. 노란번호판, 영업용번호판, 운송수단별 비교) (0) | 2022.08.20 |
---|---|
[물류사전] 운송서비스의 특성 (0) | 2022.08.18 |
[물류사전] 철도운송 (0) | 2022.08.15 |
[물류사전] 위험물의 수출입절차 (0) | 2022.08.14 |
[물류사전] 포장의 표준화와 적정화 (0) | 2022.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