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철도운송
1) 철도운송의 특성
철도는 대량화물을 일시에 운송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운송수단으로 운송거리에 운송비가 반비례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다른 운송수단과 비교해서 배기가스나 소음 등 공해가 낮은 수준이며, 교통사고 발생도가 낮아 안전성이 높은 운송수단이다. 그리고 대량화물을 운송하기 때문에 에너지비용과 운전비용이 저렴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철도운송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철도운송의 장점
- 중장거리의 경우 운임이 비교적 저렴하다.
- 장거리 대량 고속수송이 가능하다.
- 안전도 및 확실성이 높다.
- 교통체증 없이 계획적 운송이 가능하다.
- 전국적인 운송망을 이용할 수 있다.
- 왕복운송에 따른 유리한 운임할인제도가 존재한다.
- 타운송수단에 비해 기후의 영향이 적다.
(2) 철도운송의 단점
- 철도역에서 트럭과의 환적작업이 필요하고 하역횟수가 많다.
- 열차를 새로 편성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기동성이 떨어진다.
- 화물추적이 용이하지 않다.
- 적합한 차량을 적절한 시기에 배차하기 어렵다.
- 운임의 융통성이 부족하다.
- 적재 중량당 용적이 작다.
- 문전에서 문전까지 운송서비스가 불가능하다.
2) 철도운송의 형태
(1)직행수송
직행수송이란 특정 발차역과 도착역을 정하고 그 사이를 직행수송하는 방식이다. 공장 간의 전용열차, 산지직행수송 따위가 이에 해당하며 왕복수송에서 볼 수 있는 수송효율의 향상, 수송 정도의 향상, 관리의 용이성 등이 장점이다.
(2) 컨테이너수송
단위화한 컨테이너에 화물을 싣고 문전에서 문전까지, 화물을 환적하지 않고 수송하는 방법을 일관수송이라 한다.
(3) 쾌속화물수송
화차취급 화물수송이 하나이며, 지역별로 중심역을 정하고 그 중심역 사이를 쾌속열차로 연결하며 수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중심역까지는 보통 화물열차나 트럭으로 화물을 운반한다.
(4) 야드(조차장)집결수송
야드집결수송이란 야드에 집결되고 행선지별로 구분/편성되어 화물열차에 의해 도착역에 가까이 있는 야등에 수송되고 다시 그 야드에서 도착역까지 수송되는 방식을 말한다.
3) 철도화물 취급형태와 사업형태
(1) 철도화물 취급형태
ㄱ. 화차단위 취급
송화인이나 이용운송화물 취급업자가 철도로부터 화물의 수량, 형태에 적합한 화차를 전세로 빌려 운송하는 방법이다.
- 일반적으로 대량이고 장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 화차취급의 이용은 통상 사용화차 한 대를 단위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적재하는 화물의 형상 등으로 두 대 이상의 화차에 걸쳐 수송하는 경우에는 사용화차 수를 한 단위로 한다.
ㄴ. 컨테이너단위 취급
규격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에 적입된 화물을 철도와 트럭을 연결하여 문전에서 문전까지를 일관수송하는 시스템으로 종래의 철도수송의 약점을 극복한 수송형태를 말한다.
ㄷ. 혼재화물 취급
이용운송화물 취급업자가 불특정다수 화주의 소량화물을 행선지별로 화차 혹은 컨테이너 단위로 묶어서 이를 철도의 화차취급, 컨테이너 취급 형태로 수송하는 것이다.
ㄹ. 화물 취급
화물 취급에는 소화물 취급과 수화물 취급이 있으며, 소량화물을 대상으로 한것이다. 소화물 취급은 소량의 화물을 객차편으로 수송하는 방식을 말하며, 수화물 취급이란 여객 출발역에서 운송을 위탁하는 방식을 의미하고 있다.
(2) 철도화물 사업형태
통운취급업: 통운사업자가 송화인, 수화인이 되어 철도에 물품의 운송을 위탁하고 수취하는 사업을 말한다.
통운대리업: 송화인명, 수화인명을 화주의 이름으로 하여 철도에 물품의 운송을 위탁하고 수취하는 사업을 말한다.
철도집배인: 철도로 운송되는 화물, 소화물, 수화물 등의 물품을 역까지 또는 역으로부터 운반하는 사업을 말한다.
화물하역업: 철도로 운송되는 물품을 화차에 싣거나 화차로부터 하역하는 사업을 말한다.
철도이용업: 상법상의 운송인이 되어 화주와 운임계약을 체결하고 철도를 하청으로 이용하는 사업을 말한다.
실제로는 이용자의 다양한 운송수요에 응하기 위해 대부분 상기업종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겸업하고 있다. 통운업자에는 전국적인 조직을 지닌 전국통운 등이 있고 각 지역에 있는 지역통운, 그리고 일반 면허업자와는 달리 화주, 취급물품, 장소 등이 한정되어 있는 한정 통운업자가 있다.
4) 철도에 의한 컨테이너 운송
(1) 배경
철도운송은 원래부터 갖고 있는 비탄력적인 특성과 서비스질의 저하라는 내부적 약점과 도로망의 확충에 따른 광범위한 영역을 연결할 수 있는 트럭운송의 활용이 높아져 단거리 운송수단으로서 경쟁력을 잃게 되었다. 그러나 컨테이너의 도입으로 철도운송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특히 복합운송이 도입되어 주운송은 철도운송으로 단말운송은 트럭운송으로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철도운송에 컨테이너 단위 열차운행이 가능해지고 하역작업이 신속해졌다.
(2) 철도운송의 방식
ㄱ. COFC방식
COFC(cargo on flat car)방식이란 컨테이너만을 화차에 싣는 방식으로 대량의 컨테이너를 신속히 취급하는 방식으로 TOFC방식보다 보편화되어 있으며 컨테이너를 적재, 양하작업을 위해 하역기기가 필요하다.
ㄴ. TOFC방식
TOFC(trailer on flat car)방식이란 화차 위에 트레일러를 동시에 적재하는 운송방식이다. 이 방식은 장거리 정기노선에 효율성이 높으며, 집화 및 인도가 신속하게 처리된다.
ㄷ. 프레이트 라이너(freight liner)체제
ㄹ. 미국의 피기백(piggy back)체제
여러 물류정보에 대해 궁금하다면
[물류사전] 위험물의 수출입절차
1. 위험물 선적서류 위험물의 수출입절차는 다른 일반화물의 절차와 큰 차이는 없지만 위험물의 특수한 성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고, 위험물 취급에 관련된 종사자의 안전을 도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포장의 표준화와 적정화
1. 포장의 표준화와 적정화 1) 포장의 표준화 포장표준화는 물적유통 전반을 조성해주는 활동으로서 물류비의 절감을 목적으로 함과 동시에 유통업자, 포장재 생산업자, 사용자, 소비자 등에 이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사전] 운송서비스의 특성 (0) | 2022.08.18 |
---|---|
[물류사전] 항공운송 (0) | 2022.08.16 |
[물류사전] 위험물의 수출입절차 (0) | 2022.08.14 |
[물류사전] 포장의 표준화와 적정화 (0) | 2022.08.13 |
[물류사전] 포장관리 (개념, 기능에 대하여) (0) | 2022.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