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팔레트(pallet)
물류에서 팔레트란 화물의 수송 및 보관에 있어서 그 하역작업 및 운반작업을 합리화하기 위한 화물적재판이다.
1) 팔레트화?
팔레트화는 개별화물들을 그 특성에 맞는 적절한 팔레트를 사용하여 단위화시킴으로써 하역작업시 시간당 화물처리능력을 현저하게 개선하여 하역비와 하역시간을 크게 감축시켜 줌으로써 전체 물류시스템의 효율성 증진에 크게 기여하는 물류활동이다. 한마디로 말해 화물들에 동일한 단위를 적용하여 일을 생산성과 효율을 높인다.
(1) 팔레트의 장/단점?
팔레트의 장점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핵심적인 것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팔레트의 장점]
1.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하역작업시간이 단축된다.
2. 하역기계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기동성이 증가하고 안전한 작업도 기대할 수 있다.
3. 표준화/규격화가 가능해지며 종합물류시스템이 촉진된다.
4. 물품의 보호/관리가 용이해진다.
팔레트의 경우에는 단점보다 장점이 많아 별다른 문제는 없으나 단점에 대한 대책과 이를 극복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팔레트의 단점]
1. 작업이 간헐적이어서 연속적인 작업을 할 수 없다.
2. 운반거리가 길면 작업능률이 떨어진다.
3. 넓은 도로를 필요로 하며 노면정비가 필요하다.
4. 팔레트 자체의 관리가 어렵다.
5. 수송기관에의 물품 적재량이 줄어든다.
하지만 이런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들도 있는데 아래와 같다.
1. 작업이 간헐적이어서 연속적인 작업을 할 수 없다.
대안) 하역기기의 적극적인 이용, 일시 재고(완충재)의 보유
2. 운반거리가 길면 작업능률이 떨어진다.
대안) 컨베이어, 대차의 이용, 기타 기기를 이용
3. 넓은 도로를 필요로 하며 노면 정비가 필요하다.
대안) 좁은 통로용 운반기기의 이용, 통로부분의 활용, 통로의 폐지
4. 팔레트 자체의 관리가 어렵다.
대안) 팔레트 풀 교환제 및 팔레트 관리 업체의 이용
5. 수송기관에의 물품 적재량이 줄어든다.
대안) 하조포장의 개선
특히 4번의 경우 요즘에는 팔레트를 대여, 교환, 수거까지 원스톱으로 진행해주는 업체들도 많이 생겨나고 있어 업체 입장에서 팔레트 관리의 어려움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2) 팔레트의 종류
1) 사용재료에 의한 분류
팔레트의 재질은 목재, 합판, 철제, 알루미늄, 종이류,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있다.
[목재 팔레트]
가격이 저렴하고 가벼워서 사용이 편리하다. 그러나 파손되기 쉽고 습기에 약하다.
[합판 팔레트]
접착공업에 의해서 배함이 가능하고 외관이 보기 좋으나 가격이 비싸다.
[철제 팔레트]
일반철제 팔레트, 스틸 팔레트, 알루미늄 팔레트 등이 있다. 일반철제와 스틸 팔레트는 대단히 무겁고 견고하여 중량물 하역에 많이 사용되고, 특히 항만하역에 많이 사용된다. 알루미늄 팔레트는 가벼운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비싸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플라스틱 팔레트]
순플라스틱 팔레트와 철심을 넣어서 제조한 플라스틱 팔레트가 있다. 가볍고 위생적이며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적화시 손상위험도 적으며, 우천시나 습기가 많은 화물을 다루어도 부패의 염려가 적다. 그러나 가격이 다소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플라스틱 팔레트이며 쿠팡, 마켓컬리 등 이커머스 업체에 화물을 입고시킬때도 주로 사용하는 것이 이 플라스틱 팔레트이다.
[종이 팔레트]
종이를 압축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사용상의 불편은 적으나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2) 팔레트의 구조에 의한 분류
팔레트는 여러 가지 재질을 활용하여 제작이 되며, 그 형태와 종류도 작업의 용이도와 유통성 및 표준화 등에 적합하도록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팔레트는 평면 팔레트(flat pallet), 박스 팔레트(box pallet), 롤 팔레트, 포스트 팔레트(post pallet), 일면 혹은 양면사방 사용형, 시트 팔레트 등이 있다.
이를 용법에 따라 구분하면 장내용 팔레트(captive pallet), 비장내용 팔레트(non-captive pallet), 1회용 팔레트(expendable pallet), 재사용 팔레트(reusable pallet), 스키드(skid stillage) 팔레트, 세미리브 스키드(semi-live skid) 팔레트 등으로 분류된다.
[단면형 팔레트]
[평면사용형 팔레트]
[양면사용형 팔레트]
[2방향 차입식 팔레트]
[부분적인 4방향 팔레트]
[4방향 차입식 팔레트]
[사일로 팔레트]
[상자형 팔레트]
[기둥 팔레트]
[탱크 팔레트]
[롤 팔래트]
[롤 상자형 팔레트]
3) 자사 팔레트와 임대 팔레트
자사 팔레트의 장점으로는
첫째, 언제나 필요로 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자체 팔레트 풀제 도입이 용이하다.
셋째, 자사에서 필요한 규격을 임의로 선택, 도입할 수 있다.
반면, 단점으로는
첫째, 많은 비용이 발생된다.
둘째, 공 팔레트 회수가 어렵다.
셋째, 성수기와 비수기의 수량조정이 어려우며, 규격 팔레트의 보급이 어렵다.
임대 팔레트의 장점으로는
첫째, 공 팔레트를 회수할 필요가 없다.
둘째, 성수비와 비수기의 수량조정이 가능하다.
셋째, 표준 팔레트 도입이 용이하다.
넷째, 경비가 절감된다.
반면, 단점으로는
첫째, 긴급을 요하는 공급제약이 있을 수 있다.
둘째, 회사 간 이동시 회수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모든 포장단위를 임대 팔레트에 맞추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단점을 고려할 때,
[임대 팔레트의 사용이 유리한 경우]
성수기와 비수기의 물동량 차이가 많은 경우와 지역 간 이동이 많은 기업
[자사 팔레트 사용이 더 유리한 경우]
반면, 기간별 물동량 변화가 크지 않고 일정한 증가추세가 있을 경우
그러므로 팔레트 사용에 있어 임대 팔레트, 자사 팔레트를 고민하고 있다면
먼저 우리 회사의 물동량 체크와 운송특성을 먼저 살펴보고 결정하면 된다.
'물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사전] 저장창고와 유통창고에 대해 (창고의 종류) (0) | 2022.08.03 |
---|---|
[물류사전] 오더피킹(Order picking)이란? (0) | 2022.08.02 |
[물류사전] 국내 택배사 방문택배 가격비교 및 신청방법 (feat. CJ대한통운, 한진택배, 우체국택배, 로젠택배) + 추천 (0) | 2022.08.01 |
[물류사전] MRP(자재 소요 계획)와 JIT생산이란? (개념, 이점, 불리점 등) (0) | 2022.07.31 |
[물류사전] 3자 물류, 3PL이 뭐지? (삼자물류, 쓰리피엘에 대해) (0) | 2022.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