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급사슬(supply chain)
1) 공급사슬(supply chain)의 이해
공급사슬은 고객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모든 관계자로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모든 관계자는 고객, 소매자, 도매자 , 생산자, 부품/원자재공급자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공급사슬은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하여 최초공급자에서부터 최종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즉, 한 체인을 따라 원자재 공급자에서 생산자, 분배자, 소매자, 고객으로 이동하는 제품의 흐름 및 공급을 말한다.
공급사슬의 구조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기업(제조업자)들에 있어 공급사슬 구조는 많은 단계로 구성되어진 다양한 공급업자로부터 원자재 및 부품을 공급받고, 제조업자는 다양한 서로 다른 계층의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판매하게 되는 계층적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제조업자는 1단계 부품공급업자를, 1단계 부품공급업자는 2단계 부품 제조업자를, 다시 2단계 부품제조업자는 3단계 원자재 공급업자를 첫 번째 공급자로 간주하게 되는 순환을 거치게 된다. 또한, 소비측면에서는 제조업자는 1단계 도매업자를, 1단계 도매업자는 2단계 소매업자를, 2단계 소매업자는 3단계 최종소비자를 첫 번째 소비자로 간주하는 단계적/계층적 구조로 형성되어진다.
일반적으로 가장 단순한 공급사슬 형태에서의 참여자는 생산자, 생산자에 원자재 등을 공급하는 공급자, 고객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가장 기본적이고 단순한 형태의 공급사슬 참여자들이다. 반면 확장된 공급사슬 형태에서는 생산자(producer), 도매상(distributor), 소매장(retailer), 고객(customer), 서비스제공업자(service provider) 등으로 구성된다.
모든 제품에는 자신만의 독특한 공급사슬이 있으며 그러한 공급사슬이 길수도 짧을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공급사슬을 주 공급사슬에 결합시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감자튀김을 판매하는 레스토랑의 경우 감자를 농부로부터 직접 구매하여 판매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공급사슬이 매우 짧을 뿐만 아니라 다른 공급사슬을 결합시키지 않는다. 반면 우리가 매일 입고 있는 셔츠의 경우 면화를 재배하는 농부에서부터 최종소비자에게까지 매우 긴 공급사슬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류에 따라 단추, 염료, 폴리에스테르 등 다양한 자재의 공급사슬이 셔츠의 공급사슬에 결합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컴퓨터의 제조 및 판매에 있어서도 인텔의 CPU, 삼성전자의 DVD, LG의 스캐너, HP의 프린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운영체제 등 다양한 공급사슬을 컴퓨터로 제조/판매하기 위해 결합/합류시키게 된다.
현실적으로 제조업자는 여러 공급업자들로부터 원자재를 공급받을 수도 있고 여러 분배업자들에게 공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어떤 학자들은 공급사슬이라는 단어 자체가 단순한 관점이라는 시각하에 공급사슬의 구조를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 '공급네트워크(supply network)' 또는 '공급웹(supply web)'의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서에서는 공급사슬이라는 개념이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단어 자체가 공급사슬과 관련된 정보, 제품, 자금의 복잡하고 끊임없는 순환관계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공급사슬(supply chain)'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2) 공급사슬의 진화
매스마케팅(mass marketing)을 중요시 하는 산업화시대에서는 규모의 경제(economics of scale)를 달성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이를 통해 기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따라서 기업들은 공급사슬 활동을 기업 내에서 수직적으로 통합하고자 하였다. 수직적 통합(vertical integration)은 공급업자와 구매자들에 의해 수행되는 활동들을 소유하기 위해 가치사슬을 확대하는 것을 말한다. 즉 수직적 통합은 한 산업 내에서 기업의 활동범위를 확대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직적 통합은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시장비용 감소, 품질의 향상, 특허기술의 보호 등의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예를 들어, 1900년대 중반 포드자동차의 경우 자동차생산에 필요한 요소들을 자체적으로 소유하였다. 자동차 부품 및 차량 생산을 위한 철강을 추출할 수 있는 철광석 광산뿐망 아니라 자동차 덮개 재료인 아마(flax)생산 농장, 목재차량 생산을 위한 산림등을 직접 소유/운영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생산방식은 1900년대 초반까지의 획일적인 산업경제에서는 매우 적합한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후 시장이 성장하고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이러한 방식으로는 변화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기에는 역부족이어서 점차 퇴색하기 시작하였다. 실제로 포드자동차는 생산비용에만 치중하고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결과로 1920년대 50%의 시장점유율에서 1940년대에서는 20% 이하로 떨어졌다. 고객에 대한 비용중심적인 효율성 전략은 더이상 성공적인 모델이 될 수 없었던 것이다.
더 많은 물류 정보가 궁금하다면 아래 내용도 참고해보자.
[물류사전] 로지스틱스의 기능
1. 로지스틱스의 기능 로지스틱스의 기능은 수요충족기능, 수요창출기능, 수급조정통합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1) 수요충족기능 로지스틱스의 역할은 "생산된 상품을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과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물류채산분석
1. 물류채산분석 1) 물류채산분석의 의의 (1) 물류채산분석의 중요성 물류채산분석은 현재 실시하고 있는 물류비관리시스템에 대한 구조적인 문제나 업무집행상의 문제와 관련하여 제기된 개선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사전] 조달의사결정 (1) | 2022.09.14 |
---|---|
[물류사전] 물류관리조직의 특성 (1) | 2022.09.10 |
[물류사전] 로지스틱스의 기능 (0) | 2022.09.08 |
[물류사전] 물류조직의 선정전략 (0) | 2022.09.06 |
[물류사전] 물류의 기능 (1) | 2022.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