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물류성과측정의 기준
물류성과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기준으로 측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견해는 학자들마다 다양하다. 실제적으로 물류성과를 측정함에 있어서는 다양하고 복잡한 과정을 총체적으로 평가해야 하므로 더욱더 성과의 범위가 넓어짐은 물론,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를 띠게 된다. 또한 물류활동은 반드시 고객서비스를 포함하는 제 요소들을 같이 평가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고객서비스를 측정한다는 것이 매우 부담스러운 요소 중 하나이다. 물류성과기준에 관한 다양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Mentzer와 Firman
Mentzer와 Firman은 물류성과 분석기준을 크게 효과성(effectiveness)과 효율성(efficiency)으로 나누고 있으며 세부적으로 수익성(profitability), 생산성(productivity), 공정성(equity) 그리고 효과성(effectiveness)을 그 기준으로 삼고 있다.
효과성(effectiveness)이란 물류조직의 목표를 얼마나 잘 효율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고, 공정성(equity)은 고객서비스와 관련된 사항으로서 고객의 관점에서 조직이 얼마나 그들을 공정(fair)하게 대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여기에서 공정이라고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생산업자가 도매업자, 소매업자, 운송업자 등과 더불어 최종소비자에게까지 동일한 서비스로 그들을 대함으로써 생산업자의 의지를 최종소비자에게 동일하게 전달하고자 하는 개념이다.
수익성은 비용 대 이윤이고 생산성은 투입 대 산출(output to input)이다.
Mentzer와 Firman은 이러한 평가기준요소를 크게 효과성(effectiveness)과 효율성(efficiency)으로 나누고 있는데, 효율성의 경우에는 산출목표에 대한 실제 산출량의 비율이고, 효과성의 경우에는 조직의 예산관리와 같이 투입량에 대한 비율측정이라고 정의하여 물류성과의 측정시에는 이러한 요소를 기준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2) Bowersox
물류성과 측정기준을 자산관리, 물류비용, 생산성, 고객서비스, 품질의 5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자산관리란 자산수익률, 투자수익률, 재고회전율을 의미하고, 물류비용은 수송비, 창고비, 주문처리비, 단위당 비용 그리고 품절로 인한 판매손실비 등을 의미한다. 생산성을 산출량을 투입량으로 나눈 것으로 물류와 관련한 생산성 측정지표에는 종업원의 임금 등이 포함된다. 고객서비스는 고객만족도, 품질, 배달의 신속성, 이월주문량 등을 의미하며 고객서비스에 대한 궁극적인 목표는 특정한 서비스의 수준을 달성한다는 조건하에 총물류비용을 최소화하는데 있다. 품질이란 제품의 파손빈도, 파손액 그리고 고객반품수를 의미하며 고객에게 제공되는 직접적인 서비스 질과 연결된다.
3) Martin Christopher
마틴 크로스토퍼(martin christopher)의 경우에는 물류성과에 대한 측정의 필요성을 물류부문의 효율적인 통제와 물류부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제라고 지적하여 이를 투입물(input)과 산출물(output)의 차이로서 평가하고 있다.
투입물(input) | 산출물(output) | ||
인적자원 | 시간급 노동력, 관리자 | 서비스수준 | 리드타임, 신뢰성, 주문충족률 |
판매수 | 주문수, 출하수, 배송수량, 청구서수, 품목수 | ||
물적자원 | 토지, 건물, depot, 장치 | 수량 | 개수, 타스수, 케이스수, 카톤수, 팔레트수, 트럭대수 |
중량/용적 | kg, 톤 | ||
재무적자원 | 재고, 외상판매 | 금액 | 판매상품원가, 매상금액부가가치 |
에너지 | 연료, 동력 |
4) 커니(A.T.Kearney, Inc)
커니(A.T.Kearney, Inc)는 물류성과 측정의 기준으로서 생산성(productivity)과 품질(quality)로 나누어서 구분하고 있는데 물류활동에 있어서 품질이란 정확하고 (accurate), 믿을 수 있는(reliable), 즉각적인 반응(quick-responsive)을 가지는 주문체계를포함하고 진실로 고객이 원하는 것과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생산성이란 위와 같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공급관리의 모든 활동과 자원을 결합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측정 및 평가를 성과기준으로 삼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평가하여 가치창조(creat value)를 이루고자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삼고 있다.
5) 물류성과측정의 대상
물류활동에 있어서 평가되어야 할 대상으로 물류서비스 품질, 생산성, 프로세스의 효과성(process effectiveness) 등이 있다. 물류활동의 성과측정에 있어서 생산성측정은 물류서비스 품질측정에 비해 다소 용이하게 측정되어 질 수 있다. 왜냐하면 생산성 측정은 비교적 단일단위 안에서 기업 내부적으로 측정되어질 수 있지만, 물류서비스품질은 기업내부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실제 소비자가 존재하는 시장과 공급업자 등 여러 가지 요소를 평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소비자와 공급업자 사이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이해 정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측정은 더욱 어렵게 된다. 물류활동에 있어서 품질이란 정확하고, 믿을 수 있는, 즉각적인 반응을 가지는 주문체계를 갖추고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는 것을 의미하며, 생산성이란 위와 같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공급관리의 모든 활동과 자원을 결합시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측정 및 평가는 물류활동에 대한 성과측정대성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평가하여 기업의 물류활도의 효율성 및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 많은 물류정보를 알고 싶다면
[물류사전] 운송서비스의 특성
1. 운송비와 운송서비스의 관계 1) 운송비와 서비스의 개념 운송비는 공간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트럭, 기차, 선박, 항공기 등운송수단을 이용해 물품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포장의 표준화와 적정화
1. 포장의 표준화와 적정화 1) 포장의 표준화 포장표준화는 물적유통 전반을 조성해주는 활동으로서 물류비의 절감을 목적으로 함과 동시에 유통업자, 포장재 생산업자, 사용자, 소비자 등에 이
planitblue.tistory.com
'물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사전] 소화물일관운송 (0) | 2022.08.24 |
---|---|
[물류사전] 조달 (개념, 중요성, 역할) (0) | 2022.08.23 |
[물류사전] 운송업의 구분 (feat. 노란번호판, 영업용번호판, 운송수단별 비교) (0) | 2022.08.20 |
[물류사전] 운송서비스의 특성 (0) | 2022.08.18 |
[물류사전] 항공운송 (0) | 2022.08.16 |
댓글